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K패스 교통카드의 혜택과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할 것입니다.
최근 K패스 교통카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카드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교통비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전에 있던 알뜰교통카드가 없어지면서 새롭게 출시된 것입니다.
K패스 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GTX를 포함하여 한 달에 15회 이상 이용할 경우, 사용한 금액의 일부를 되돌려 받는 제도가 있습니다.
환급 비율은 일반적으로 20%이며, 청년(19세에서 34세)은 30%로 더 높고, 저소득층은 53%로 가장 높습니다.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의 최대 한도는 60회의 분량입니다.
가입한 첫 달에는 이용 횟수가 15회를 넘지 않더라도 환급이 가능합니다.
– 단, 교통비가 20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금액은 환급률이 50%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한 청년이 매달 교통비로 18만 원을 사용하면 그 30%인 5만 4천 원을 돌려받습니다. 만약 교통비가 24만 원이라면 20만 원의 30%인 6만 원과 4만 원의 15%인 6천 원을 합쳐서 총 6만 6천 원을 환급받게 됩니다.
K패스 카드사의 교통카드 혜택 비교
K패스 교통카드는 4월 24일부터 신청을 시작하여, 단 5영업일 만에 가입자 수가 100만 명을 넘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카드를 발급할 수 있는 회사는 총 10개입니다.
–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 BC카드,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케이뱅크
– 삼성, 현대,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 즉 모바일 이즐이나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 어떤 카드사를 통해 발급받는 것이 가장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을까요?
카드사들을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신한카드
연회비: 국내 전용 7,000원 / 해외 겸용 10,000원
할인 한도: 전월 실적 30만 원에서 60만 원까지는 7천 원, 60만 원 이상일 경우 1만 5천 원입니다.
대중교통에서 10% 할인 혜택과 함께 간편 결제를 이용하면 추가로 5% 할인이 제공됩니다.
신한카드는 편의점, 배달 앱, 커피 전문점, 이동통신 요금, 올리브영, 병원 및 약국, OTT 서비스에서 5%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대중교통은 물론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신한카드 K패스, 대중교통 할인으로 최고의 혜택 누리기
KB국민카드
연회비: 국내 전용 8천 원 / 해외 겸용 8천 원
– 할인 한도 : 지난 달 실적 30만 원 이상 시 1만 5천 원
대중교통 요금 10% 할인과 함께, 편의점, 이동통신, 커피, 영화, 약국, 패스트푸드에서 5% 할인을 제공합니다.
KB Pay를 이용해 결제하면 생활서비스에서 5%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카드도 신한카드와 유사한 혜택을 제공하지만, 추가 할인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KB Pay로 결제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BC바로카드
연회비 : 국내전용 6,000 원 / 해외겸용 7,000 원
할인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월 실적이 30만 원에서 60만 원이면 1만 원, 60만 원에서 100만 원은 2만 원, 100만 원을 초과하면 3만 원까지 할인됩니다.
– 대중교통 요금 15% 할인 (타 카드사 10%)
OTT 할인 15%, 이동통신 요금, 편의점과 카페에서 각각 5% 할인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할인에 중점을 두고 싶다면 BC바로카드가 좋습니다. 이 카드의 대중교통 할인율은 15%로 가장 높고, 연회비는 국내전용 기준으로 6천 원으로 경제적입니다.
삼성카드
– 연회비: 국내전용 1만 원 / 해외겸용 1만 원
할인 한도: 지난 달 실적이 40만 원을 넘으면 1만 7천 원이 제공됩니다.
커피전문점이나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그리고 멤버십에서 삼성카드를 사용하면 각각 2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커피나 OTT 서비스, 멤버십 이용이 잦다면 이 할인을 통해 큰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리카드
– 연회비: 국내전용 13,000원 / 해외겸용 15,000원
할인 한도는 전월 실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30만 원에서 70만 원 사이일 경우 1만 원의 할인 혜택이 있으며, 70만 원에서 120만 원 사이에서는 2만 원, 그리고 120만 원 이상의 실적일 경우에는 4만 원까지 할인이 가능합니다.
스타벅스와 통신료, 공공요금, 렌탈 서비스의 자동납부 시 10% 할인을 제공하는 카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스타벅스 이용이 잦은 분들에게는 큰 혜택이 될 것입니다. 차량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은 NH농협 카드를, 드럭스토어 할인이 필요하신 분은 하나카드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신청 방법
K패스 신청 절차는 매우 쉽습니다. 두 가지 단계만 거치면 됩니다.
카드 발급을 신청하는 첫 번째 단계
먼저 10개 카드를 제공하는 카드사들 중 하나를 선택해 카드를 신청합니다. 이때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중에서 원하는 유형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회원가입과 카드 등록 2단계
카드를 받았다면 K패스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진행하세요. 이후 발급받은 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완료됩니다.
두 가지 간단한 절차를 따라 하시면 K패스의 혜택을 즉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셨던 분들은 별도의 새 카드를 발급받지 않고도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가입한 첫 달에는 15회 미만으로 이용해도 교통비를 돌려받을 수 있으니, 주저하지 말고 꼭 가입해 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 교통카드 신청 시 유의할 점
가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K패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는 반드시 공식 앱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슷한 형태의 가짜 앱들이 많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경우, 추가적인 발급 없이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회원 전환 절차만 거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