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및 기간 과태료 확인하기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필수적으로 챙겨야 하는 정기적인 의무 중 하나가 바로 ‘자동차 정기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차량 점검을 넘어 안전한 도로 운행을 위한 법적 기준이기도 합니다. 검사 시기를 놓치면 과태료가 부과되며, 차량 운행에 제약이 생길 수 있으므로 미리 점검하고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동차 정기검사란?
자동차 정기검사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배출가스 등 환경 관련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검사하는 법정 차량 점검 제도입니다. 정해진 주기에 따라 차량을 검사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며, 향후 보험금 지급 거절 또는 차량 등록 제한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전 확보: 브레이크, 조향장치 등 안전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
- 환경 보호: 배출가스 검사를 통해 대기오염을 방지
- 차량 관리: 정기 점검을 통해 차량의 수명을 연장
정기검사 조회 방법
내 차량의 정기검사 시기를 모를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이용
-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로그인 후 ‘자동차 정기검사’ 검색합니다.
- 차량번호 및 소유자 정보를 입력하면 검사 기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365를 통한 정기검사 정보 확인
자동차365 사이트에 접속한 후, ‘자동차 검사’ 메뉴를 클릭하면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검사 기한 및 예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을 통한 정기검사 예약
한국교통안전공단(T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동차 검사 예약’ 메뉴를 선택합니다.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정기검사 기한 및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기검사 주기
자동차 정기검사 주기는 차량의 용도와 크기, 사용 연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비사업용 승용차: 신차 등록 후 4년 이후 2년에 한 번
- 사업용 승용차: 등록 후 2년 이후 매년 1회
- 경형·소형 화물차/승합차: 등록 1년 후 매년 1회
- 대형 승합차: 등록 후 3년 초과~8년까지 매년 1회
정기검사 대상이 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하며, 검사 기한을 넘길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정기검사 예약 방법
정기검사 예약은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예약: TS공단 사이버 검사소에 접속하여 ‘자동차 검사 예약’ 메뉴를 선택한 후, 차량번호 및 소유자 정보를 입력하고 검사소 및 날짜를 선택하여 예약을 완료합니다.
- 전화 예약: TS공단 고객센터 1577-0266으로 전화하여 가까운 검사소 안내 및 예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현장 접수: 예약 없이 검사소를 방문하여 접수 가능하지만,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사전 예약이 효율적입니다.
검사 비용 안내
검사 비용은 차량 종류, 크기, 배기량 등에 따라 다릅니다. 예상 비용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차: 약 17,000원~30,000원
- 소형/중형 승용차: 약 23,000원~40,000원
- 대형 승용차: 약 40,000원~50,000원
- 화물차/승합차: 약 40,000원~70,000원
공공 검사소는 사설 검사소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으며, 각 검사소별로 약간의 비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기검사 미이행 시 과태료
정기검사를 제때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발생합니다. 과태료는 기한 초과일수에 따라 차등 부과되며, 기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30일 이하: 2만 원
- 30일 초과 시: 매 3일마다 1만 원씩 추가
- 최대 과태료 한도: 30만 원
예를 들어, 검사 기한을 60일 초과한 경우에는 20,000원 + (1만 원 × 10회)로 총 120,000원이 됩니다. 과태료는 빠르게 누적되므로 검사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정기검사 준비물
검사 당일에는 아래 서류 및 항목을 반드시 준비해야 합니다.
자동차 검사 준비를 위한 필수 서류
자동차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 차량등록증
- 검사비용 (현금 또는 카드)
- 검사 안내문 (받은 경우 지참)
사전 점검 항목 체크리스트
검사 전에 다음의 사전 점검 항목을 확인해야 합니다:
- 브레이크 작동 여부
-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등 정상 작동 여부
- 타이어 마모 상태
- 배출가스 및 엔진 소리, 진동 확인
작은 이상이라도 있다면 정비 후 검사에 임하는 것이 재검을 피하는 길입니다.
검사소 위치 찾기
검사소는 전국에 고르게 분포돼 있으며, TS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지역별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설 검사소 이용 시 공단 홈페이지에서 공식 지정된 검사소인지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검사 시 유의사항
검사 기준일은 등록일이 아닌 출고일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차량이 연도 말에 출고된 후 다음 해 초에 등록되었다 해도, 출고일을 기준으로 검사 시기가 산정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TS공단에서는 검사 시기가 다가오면 문자로 알림을 주는 경우가 많지만, 받지 못했더라도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