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가유공자 위탁병원에서 제공하는 진료비 할인 혜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병원은 국가유공자를 위해 특별히 운영되는 시설로,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유공자와 유족들이 누릴 수 있는 할인율 및 다양한 혜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참전유공자
- 진료비: 90% 할인
- 약제비: 연간 최대 252만원 환급받을 수 있음
- 비급여 항목은 보장되지 않음
- 배우자와 가족은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독립유공자
- 국비진료 신청자로서 전액 면제 받음
- 선순위 유족은 급여 항목에 대해 60%의 감면율이 적용된다.
전상, 공상 군경
- 국비진료 대상을 위한 전액 면제
- 건강보험의 급여 항목은 전액으로 지원되며, 특정 비급여 항목에 대해서도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전공상 군경
- 의료 혜택을 유족에게 지원할 수 있음
- 감면률은 유공자 본인과는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 약제 비용과 비급여 항목은 포함되지 않음
전사, 순직, 전상 및 공상 군인 유가족
- 급여진료비에 대해 60%의 할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 약제비와 비급여 항목은 포함되지 않음
무공보국수훈자
- 급여 항목에 대해 60%의 감면이 가능합니다.
- 배우자와 가족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약제비의 일부는 환급받을 수 있음
4.19 혁명 관련 공로자
- 국비진료 전액 면제 대상자
- 선순위 유족은 급여 항목에 대해 60% 감면할 수 있다.
공무원 꿈, 5.18 민주유공자, 특별임무유공자
- 본인에게만 국비 치료가 지원되며, 유족은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고엽제 후유증을 앓고 있는 2세대 환자
- 고엽제 피해자라 하더라도 등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정된 질병에 대해서만 국가에서 진료비 지원이 이루어진다.
보훈보상 대상자와 그 가족
- 상이등급 1급에서 6급까지는 국가의 지원을 받아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초음파와 MRI 같은 비급여 항목에서도 일부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 상이 7급으로 판단될 경우, 상이처에 대해서는 국비 진료가 가능하지만, 다른 질병에 대해서는 10%의 본인 부담금이 발생합니다.
- 만 75세 이상인 선순위 유족 1명에게는 급여 진료비에서 60% 감면 혜택이 적용됩니다.
국가유공자 위탁병원에서 제공하는 진료비 감면 혜택에 대한 내용을 마무리하였습니다. 국가유공자분들은 위탁병원에서 특별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추가 질문이 있다면 가까운 보훈(지)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
약제비와 비급여 항목의 혜택 사항 |
참전유공자 |
90% 감면 |
연간 최대 252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독립유공자 |
전액 감면 |
– |
전상, 공상 군경 |
전액 감면 |
건강보험의 급여 항목은 전액 지원되며, 일부 비급여 항목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전공상 군경 |
유가족을 위한 의료 지원 혜택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
– |
전사, 사망, 전상공상군인 유가족 |
60% 감면 |
– |
무공보국수훈자 |
60% 감면 |
일부 약제비 환급이 가능합니다. |
4.19 혁명 관련 유공자 |
전액 감면 |
유족의 선순위는 급여 항목에 대해 60% 감면할 수 있습니다. |
공무원 판타지, 5.18 민주유공자, 특별 임무 유공자 |
본인에게 한정된 국비진료 지원 |
– |
고엽제 후유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과 고엽제로 인해 영향을 받은 2세대 환자 |
국비진료 지원 |
– |
보훈보상대상자와 그 가족 |
국비 지원으로 1급에서 6급까지의 상이등급에 대해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초음파와 MRI 같은 비급여 항목에서도 제한된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
국가유공자 위탁병원에서는 여러 유형의 유공자에게 진료비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감면 비율은 유형마다 다르며, 약제비와 비급여 항목은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병원이나 보훈청에 문의하시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